“모든 결정은 군민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군민의 뜻을 존중하는 것이 행정의 원칙이자 완주군의 발전을 위한 출발점입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지난 19일 군청 브리핑룸에서 ‘완주·전주 행정통합 찬·반 바로 알리기’ 활동의 경과와 향후 계획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이 같이 밝혔다.
앞서 군은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읍·면 단위 주민설명회를 열고, 통합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균형 있게 전달했다. 또한 1마을 담당제를 활용해 공무원들이 직접 경로당과 마을을 방문, 리플릿을 배부하고 질의에 답하며 주민들의 궁금증 해소에 도움을 줬다.
이와함께 유 군수는 KBS, MBC, JTV 등 방송사 3사의 토론회에 참석해 ▲행정안전부 여론조사 실시 및 과반 반대 시 통합 추진 중단 ▲전북특별자치도-전주시-완주군 공동의 피지컬 AI 사업 추진 ▲도청 만경강 인근 이전과 현 전주시청사 부지의 문화복합시설 개발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
 |
|
↑↑ 유희태 군수가 완주-전주 행정통합 바로 알리기 활동 경과 및 계획을 밝히고 있다. |
ⓒ 완주전주신문 |
|
특히 유 군수는 이날 기자회견 자리에서 “행정통합은 군민 삶과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특정 집단이나 정치적 논리에 이끌려서는 안 된다”며 “군민이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건전한 공론화를 이어 가겠다”고 밝혔다.
유 군수는 또 “불확실한 105개 상생발전안보다 군민 체감도가 높은 피지컬 AI 사업과 도청 이전이 더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이는 통합 여부와 무관하게 군민 신뢰를 높이고 전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유 군수는 특히 “완주-전주 행정통합에 대해 확실하게 ‘반대’라고 선언을 하지 않느냐?”라는 기자의 질문에 “지난 2013년 통합을 추진하면서 정치인들의 논리로 주민 갈등이 심했다”며 “찬성 주민과 반대 주민이 공존하는 만큼 단체장으로서 어느 한쪽을 선택할 경우 주민 갈등이 심화돼 이후에도 후유증으로 지역이 큰 상처를 입게 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유 군수는 끝으로 “행정통합만이 유일한 발전 해법은 아니다”라며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상생협력사업을 통합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군민들께서도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며 갈등 없는 공론화에 동참해주시길 부탁드린다”며 “정치 논리가 아닌 군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경제 논리로 현명한 판단을 내려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완주군은 앞으로 농업, 교육, 소상공인, 문화예술 등 분야별은 물론 세대별 간담회 요청 시 장소와 자료, 패널을 지원해 찬성·반대 양측이 균형 있게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