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교육부 공모사업인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지정돼 완주형 돌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지난 달 28일 교육부와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완주군이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교육발전특구 공모사업’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기업이 서로 협력해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취업까지 연결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전국 15개 시·도, 94개 지자체가 신청해 열띤 경쟁을 벌였다.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3년의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정식지정 여부가 결정되며, 특례신설을 통한 각종 규제 완화는 물론 특구 당 최대 100억 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완주군이 이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성공함에 따라 공교육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인구 증가에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완주군은 교육발전특구를 위해 완주교육지원청과 완주군의회를 비롯, 우석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전북하이텍고, 한별고, 완주산단진흥회, 현대자동차(주)전주공장 등 9개 기관·단체와 지역협의체를 구성해 완주형 교육 모델 발굴에 역량을 결집했다.
이를 토대로 ▲13개 지역 돌봄 인프라와 완주어울림버스(가칭) 돌봄 교통체계 마련 ▲자율형 공립고와 협약형 특성화고 추진 ▲지역특화전형(수소, 반도체, 자동차) 연계 지역인재 발굴 및 지역기업체 맞춤형 취업 연계 ▲외국인 및 유학생 정주여건 강화 등 지역인재가 지역에서 정주할 수 있는 선순환체계 구축을 주요 추진과제로 삼는 등 차별화를 뒀다.
또한, 학부모·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 간담회를 열고, 유관기관 회의를 수차례 열어 교육 현안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 목표를 수립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교육청, 고등학교, 대학, 기업까지 공교육 활성을 위해 다같이 힘을 모아 오늘의 결과를 얻게 됐다”며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공교육 혁신으로 완주군의 교육발전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