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복지

郡, 사회복지 인구 급증에 맞춤형 돌봄서비스 강화

원제연 기자 입력 2022.09.23 09:50 수정 2022.09.23 09:50

전문가 참석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오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맞춤형 돌봄, 일자리 제공 등 필요

완주군이 지난 10년 동안 노인과 여성, 장애인 등 사회복지 인구가 크게 늘어난 것과 관련해 현장 중심의 촘촘한 맞춤형 돌봄 서비스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 조성, 일자리 제공 등에 적극 나선다.

군은 이달 초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고 오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4년간의 지역사회 복지 수요와 자원, 자체 사회보장사업 등과 관련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용역 수탁기관인 전북정책발전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완주군의 노인인구는 2011년 1만5,715명에서 2021년 2만2,195명으로, 지난 10년 동안 41.2% 증가 했다.

여성인구와 장애인 인구도 같은 기간에 각각 7.6%와 6.6%씩 증가한 4만5,461명과 8,049명으로 집계됐으며, 기초수급자는 지난 10년간 26.9%나 늘어난 6,35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 완주군이 맞춤형 돌봄서비스 등을 위한 생활환경 조성 등에 나선다. 사진은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모습.
ⓒ 완주전주신문

보고서는 또 분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에 의한 투표 결과, 완주군의 향후 지역사회보장계획 키워드로는 △현장 중심(6표) △찾아가는(6표) △사각지대 없는(6표) △맞춤형(6표) △만경강의 기적(5표) △모두가 누리는(4표) △행복한 삶(4표) △촘촘한(4표)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최종 보고서는 이와 관련, 완주군의 향후 4년 간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목표로 ‘모두가 누리는 복지행복도시 완주’를 설정하고, 노인과 장애인, 아동·청소년, 여성·다문화, 저소득층 등 전 계층을 아우르는 보편적 복지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향후 사회보장 전략으로 △촘촘한 맞춤형 돌봄서비스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환경 조성 △누구나 풍요로운 일자리 제공 △함께 누리는 교육·문화 등 4개 분야를 강조하고, 각각 중점추진사업 2개와 세부사업 4개 등 6개씩의 사업을 제시해 관심을 끌었다.

예컨대 ‘촘촘한 맞춤형 돌봄서비스’ 사업으로는 노인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와 통합건강 증진 원스톱 서비스 등 2개 중점 사업 외에 경로당 공동급식 운영과 고독사·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등이 제시됐다.

‘누구나 풍요로운 일자리 제공’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 2개 중점사업 외에 노인 일자리센터 운영과 사회복지종사자 처우 개선 등 세부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완주군이 주민행복과 복리증진을 위해 향후 4년간 가야 할 복지정책의 종합 디자인이 설정됐다”며“사각지대가 없도록 현장 중심의 맞춤형 복지를 추진해 모두가 누리는 미래행복도시를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완주군은 이날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 이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심의와 군의회 보고를 거쳐 전북도에 제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