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이서지역 지간선제 1단계 시행 등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앞두고 군민들의 불편이 최소화 되도록 대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군은 지난 달 26일 오전 군청 4층 중회의실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군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완주군 대중교통 군민공감위원회’ 회의를 열고, ‘대중교통체계 개편 용역 중간보고’와 관련한 질의·응답시간을 가졌다.
위원들은 “전주시내버스가 완주군 주요 거점까지만 운행하고, 군 거점에서 각 마을까지 마을버스로 환승해 이용하는 대중교통 체계 개편에 대한 군민들의 이해도를 높여 나가야한다”며 “특히 버스를 갈아타야 하는 환승 부담감에 대한 군 차원의 대책이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위원들은 또 “이서지역 지간선제 1단계 시행에 따른 공영제 마을버스 도입과 관련한 효과가 궁금하다”며 “서비스 질 향상과 투명 운영 등 공영제 도입의 실질적 효과를 알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
 |
|
↑↑ 완주군이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통해 교통 자주권 확보에 나섰다. 사진은 대중교통 군민공감위원회 회의 모습. |
ⓒ 완주전주신문 |
|
완주군은 이와 관련, “대중교통 체계 개편에 따른 환승 불편이 없도록 군 차원에서 최대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1~2단계 시행에 앞서 행복콜버스를 미리 투입해 모든 마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이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완주군은 마을버스 공영제를 도입하게 되면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버스노선을 확보할 수 있어 군민 수요에 맞춰 운행할 수 있고, 친절도 상승 등 서비스 질도 대폭 향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완주군 관계자는 “그동안 완주지역 내 결행과 무정차 등의 문제가 제기돼 왔다”며 “공영제가 도입되면 이런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고, 투명한 관리와 공공성 확보, 지연 없는 정시성 확보 등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