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통합과 관련, 주민투표가 유력시 되는 가운데 새 정부의 입장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 행정 통합 문제를 담당하는 주무부처인 행안부장관 후보자가 내정은 됐으나, 국회 소관 상임위의 인사청문회를 아직 하지 않은 상황.
인사청문회가 끝난 후에는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국무총리 제청 등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과정이 남아 있다. 특히 후보자에 대한 각종 의혹이 불거지거나 여론이 악화될 경우 낙마 가능성도 있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곧바로 시민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청취할 정도로 ‘소통’을 중시하는 새 정부가 도지사와 시장, 일부 찬성단체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완주-전주 행정통합을 긍정적으로 판단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 전망이다.
실제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명실상부한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만들겠다”며 “언제 어디서나 국민과 소통하며 국민의 주권 의지가 일상적으로 국정에 반영되는 진정한 민주공화국을 만들겠다”고 밝힌 만큼, 현재 추진 중인 완주-전주 통합은 새 정부의 기조에 반한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에 출마한 박찬대 의원도 완주·전주 통합에 대해 “통합은 속도가 아닌, 방향, 정책, 민심”이라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박 의원은 당시 기자회견을 통해 “완주·전주 행정통합 논의는 전북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하나의 고민이지만 그동안 주민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시도돼 실패했다고 본다”며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는 갈등했고 주민 간 신뢰는 상처를 입었다”고 밝혔다.
여기에다 민주당 차원에서도 완주-전주 통합 추진이 완주군민이 아닌 도지사와 시장의 공약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개인의 공약 달성’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김관영 지사의 완주방문이 완주-전주 통합을 반대하는 완주지역 도·군의원들과 지역민들의 격렬한 항의와 반발로 세 차례 무산된 점도 새 정부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행안부장관과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해 교감을 할 것”이라며 “투표 가능성은 높지만 완주 대다수 주민이 반대하는 통합 추진에 대해 새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