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완주-전주 통합’ 추진과 관련한 지자체장의 발언과 언론 보도가 잇따르자 대다수 완주군민들이 불쾌한 심경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1인당 지역총생산(GRDP) 도내 압도적 1위, 인구 세 자리 수 증가, 방문객 2천만 돌파 등 희소식이 전해지면서 군민들의 기대감이 여느 때보다 큰 상황에서 ‘완주-전주 통합’이 다시 거론되자, ‘불편하다’, ‘피곤하다’ 등의 반응이 완주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완주-전주 통합’은 연초에 우범기 전주시장이 불을 댕겼다. 우 시장은 지난 4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올해 10대 역점 전략 중 첫 번째로 ‘완주-전주 통합 추진’을 꼽았다.
그는 “전주·완주 통합을 시작한다”며 “전북특별자치도 성공과 발전의 구심점으로서 전주와 완주가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특별자치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실현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할 전주·완주 통합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봉동에 사는 주민 박 모(45)씨는 “일방적으로 통합을 이야기하는 우범기 전주시장의 발언은 완주군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제발 전주시부터 걱정하고 발전시키는데 집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이 모(57)씨는 “이전에 전주시가 전주·완주 통합 상생협력사업으로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시행하다가 통합이 무산되니 곧바로 중단했다”며 “진정성이 없는 통합은 되레 주민 갈등만 부추길 뿐”이라고 주장했다.
‘완주-전주 통합’을 앞다퉈 보도하는 도내 일부 언론사와 전주 지역 국회의원 출마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고산면에 사는 주민 김 모(66)씨는 “주민들의 의견은 외면한 채 ‘장밋빛 기대’를 갖게 하는 일방적인 통합 보도로 주민 불안을 조성하는 도내 언론사들의 보도 행태는 중단해야 한다”며 “민초들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신뢰 있는 보도를 할 것”을 조언했다.
용진읍 주민 박모(50)씨는 “선거 시즌만 되면 전주 지역에 출마하는 국회의원 후보들이 표를 얻기 위해 통합을 공약으로 내건다. 완주-전주 통합이 심심풀이 땅콩도 아니고, ‘한 번이라도 완주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긴 했나?’ 묻고 싶다”며 “자신의 지역을 발전시킬 공약이나 제대로 내걸고 지키도록 노력하라“고 목청을 높였다.
우범기 전주시장의 ‘완주-전주 통합’추진과 관련된 발언에 완진무장 국회의원 예비후보들도 즉각 기자회견을 갖고, 유감을 표했다.
김정호 예비후보는 “현재 완주군은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생활 인프라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 성과로 지속적인 인구 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완주군이 시승격의 의지를 강하게 보이는 지금, 전주시의 통합 추진 발표는 지극히 일방적이고 이기적인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지금의 통합 주장은 상대적으로 인구 수가 많은 전주시에 행정 주도권이 편중되는 구조일 수밖에 없다”며 “지방자치를 강화하고 지자체의 경제적 자생능력을 배양해야 하는 이때에 무조건적인 통합은 양측 모두에게 실익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희균 예비후보 역시 “완주-전주 통합 문제는 주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정치 이익에 따라 다룰 문제가 아니다”라며 “통합의 기본은 균형을 전제로 출발하는 게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완주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시 승격을 완주군민 모두가 바라고 있는 상황에서 일방적 통합 언급은 적절하지 않다”라며 “선거를 앞두고 완주·전주 통합 문제를 지역민의 눈길을 끄는 이용 수단이 되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한편 완주-전주 통합은 지난 1997년부터 2013년까지 세 차례 추진됐지만 완주군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