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유가 추세가 지속되고, 탄소 중립을 위한 각국의 환경 규제가 이어지는 등의 이유로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충전기 보급 속도는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전력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에서 판매된 자동차 10대 중 3대는 친환경자동차로, 하이브리드가 2만4683대, 전기차 1만3656대, 수소차 445대다.
완주군의 경우, 지난 달 26일 현재, 등록된 총 차량은 5만6136대다.
이 가운데 친환경차량은 2,074대로 하이브리드가 1,463대, 전기차 435대, 수소차 176대로 파악됐다.
전기차 충전소는 아파트와 고속도로휴게소를 제외하고 39개소로, 봉동과 이서(혁신도시) 등 일부 아파트를 제외하고, 충전시설이 아직 많이 갖춰지지 않았다.
때문에 충전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심야충전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지·관리, 충전요금 등의 어려움이 많아 자체적인 전기차 충전소 설치계획을 수립하기 쉽지 않다는 게 완주군의 입장.
완주군 관계자는 “현재 공공주택의 경우, 자체적으로 비용을 부담해서 충전기를 설치하거나, 땅을 무상으로 임대하는 조건으로 환경공단과 한국전력에서 설치하고 충전요금을 가져가는 대신 유지관리를 하는 방식”이라며 “군에서도 주민불편을 덜어 주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산업통상자원부)는 충전기 보급 확대를 위해 신축아파트의 경우, 전기차용 충전기 의무설치 비율을 0.5%에서 5.0%(구축아파트 2.0%)로 상향했다.
이에 2022년 공공건물을 시작으로 오는 2023년부터 민간건물에도 설치 의무(2%)를 부과키로 했으며, 지자체와 민간에서도 충전인프라 확충에 나선 상황이다.
실제 포스코건설의 경우 일반 주차장 기둥에 콘센트를 설치해 입주민이 소유한 220V충전 케이블로 충전하는 방식을 선보였는데, 충전요금은 아파트 관리비에서 통합 부과된다.
또한 부산시는 전봇대 거치형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를 추진하고, 현대자동차와 롯데는 도심형 초고속 전기차 충전기 5,000기를 설치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