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읍면소식

동상면, ‘동상이몽(東上二夢) 시인의 마을’로

원제연 기자 입력 2021.03.05 09:52 수정 2021.03.05 09:52

5세부터 100세 어르신까지 소소한 삶 시로 엮어

동상면(면장 박병윤)이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로 거듭난다. 지난 달 24일 동상면은 동상이몽(東上二夢) 프로젝트인 ‘동상면의 100년 역사문화 자원 찾기-동상면 주민예술가 만들기 사업’ 일환으로,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 발대식을 가졌다.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 사업은 우신산업(주) 국중하 대표와 제10회 박경리문학상 수상에 빛나는 소설가 윤흥길씨의 아이디어로 시작됐으며, 대한민국 유명 시인 작가 19명의 시비가 세워진 여산재(수만리 학동마을)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코로나19 여파로 약식으로 가진 이번 발대식에는 기업인이자 소설가인 국중하(여산재 대표)씨를 비롯 김현조 전북시인협회장, 한국작가회의 김용만 시인, 김기찬 시인, 이문희 두베 대표, 구만옥 주민자치 문화분과장, 박병윤 시인(동상면장) 등 20여명의 작가들이 참석했다.
↑↑ 동상면이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로 거듭난다. 사진은 동상이몽 시인의 마을 발대식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완주전주신문

발대식에서 참석자들은 전국 최초로 마을과 주민과 삶을 주제로 주민 공동체 시인마을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동상면은 제1차 사업으로 지난해 8월부터 5개월 동안 주민 100명의 삶의 이야기를 구술, 채록해 총 133편의 시를 만드는 작업을 했다. 특히 동상면의 5살 어린이부터 100세 어르신까지 살아가는 소소한 이야기가 한 편의 드라마처럼 정리된 시집을 발간 중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동상면은 8대 오지로 불릴 만큼 청정한 자연과 오염되지 않은 환경이 말해주듯 과거 유명한 문인들이 많이 살아온 흔적들이 마을 지명에서도 묻어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시평, 문필봉, 연석산, 정수바위 등의 지명들이 모두 벼루, 시(詩)와 관련이 있다는 것.

그래서일까? 배학기 시인 등 이 고장 출신 시인들이 전국적으로 많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병윤 동상면장은 “주민이 중심이 된 시인 만들기, 사진작가 만들기, 주민 화가 만들기 등의 사업을 통해 귀농 귀촌인과 토박이 주민들의 소소한 삶을 문화로 엮어나가는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법정 문화도시 완주 위상에 걸맞게 다양한 주민 문화공동체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