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시내버스 지·간선제를 일방적으로 추진하려고 하자 완주군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8월 15일자 1면) 전주시가 지·간선제에 대해 잠정 유보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지난 17일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전주시 장상진 부시장이 완주군민들이 지간선제 도입에 따른 환승 불편 등 부정적인 입장이 강해 기한을 정하지 않고 충분한 협의를 거치겠다는 의사를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유보 방침에 따라 오는 10월부터 전면적으로 추진하려던 계획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완주군민들은 전주시의 사전협의 없는 일방 통행식 추진의 결과라며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지·간선제에 대해 전주시는 보다 신중하게 검토하고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 완주지역 주민들은 전주시가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지간선제가 시행될 경우 더 많은 불편이 있을 것이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사진은 지역 어르신들이 봉동터미널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목적지로 향하는 버스가 도착하자 시내버스에 오르고 있는 모습. |
ⓒ 완주군민신문 |
|
봉동에 사는 김모(45)씨는 “잠정 유보라는 게 솔직히 찜찜하다”면서 “어째튼 지·간선제가 도입이 되면 고스란히 우리 완주군민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 불 보듯 뻔한데 전주시가 군과 군민의 의사도 묻지 않고 밀어붙이는 것은 도대체 무슨 발상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시내버스 지·간선제는 지난 2004년에도 한 달여 동안 시행됐으나 환승제에 따른 완주군민의 고통 때문에 무산된 제도로 완주군은 그간 전주시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한 것에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한 완주군은 전체 인구의 25%가 노령층이고 시내버스 이용자의 약 90%가 교통약자로 환승에 다른 불편함과 농산물 등 소지품을 들고 승·하차가 어렵다며 반대 입장을 보여 왔다.
특히 완주군은 지·간선제 추진 시 완주군 노선의 경우 전체가 비수익 노선으로 전락할 것이 뻔하고 버스재정 손실보상에 대한 추가요구와 버스요금 인상은 물론 결과적으로 운행횟수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고산 삼기리에 사는 박모(56)씨는 “전주시가 지·간선제를 유보하겠다는 발표를 했지만 언제 또다시 추진 할지 모르기 때문에 예의 주시하겠다”며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할지라도 다수 주민의 의사는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완주군민들은 전주시의 유보 방침에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이후 전주시가 지·간선제에 대해 어떤 카드를 꺼내들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