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새 정부의 청년참여 확대 기조에 맞춰 선제적인 청년 참여형 정책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일 완주군에 따르면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인구는 올 4월말 현재 총 1만8,904명으로, 전체 인구의 20.8%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달인 올 3월말(1만8,894명)에 비해 10명 증가하는 등 젊은 층의 귀촌·귀농과 청년 지원정책 강화에 힘입어 종전의 감소세를 극복하고, 소폭의 상승으로 급반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새 정부는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청년 참여의 장 대폭 확대’를 내걸고, 청년인식 반영 통로 활성화와 청년위원 위촉 확대, 중앙·지자체·청년 간 협업 추진, 청년정책 재원 조성 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완주군도 새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청년 참여형 정책을 발굴하고, 공모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
|
↑↑ 완주군이 새 정부의 청년참여 확대 기조에 맞춰 선제적 청년 참여형 정책발굴에 총력을 기울인다. 사진은 완주 청년 정책 이장단. |
ⓒ 완주전주신문 |
|
완주군은 청년과 관련한 중앙부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선제적 청년 맞춤형 정책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실제 중앙부처와 전북도의 청년정책 공모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청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활성화에도 주력키로 했다.
또한 청년이장단과 청년 온라인 플랫폼, 청년 참여예산 확보 등 청년들의 정책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소통 교류사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완주군은 창년 참여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2016년 10월에 ‘완주청년 점프(JUMP) 프로젝트’를 발진, 4개 분야 23개 과제를 적극 추진해왔다. 이어 지난 2019년에는 한층 업그레이드 한 ‘청년정책 점프 업(JUMP UP)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5개 분야 29개 과제를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청년 참여와 교류 활성화를 위한 청년정책 이장단 운영의 경우 지난 2017년 이후 현재까지 143명에 달하며, 청년정책 협의회, 청년정책 아카데미, 2018년부터 도입한 청년 주민참여 예산제(26개 사업, 8억 5,000만 원)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밖에 삼례읍과 고산면, 이서면 등 3개소에 청년거점공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거취약계층 청년을 위한 청년 쉐어하우스를 지난 2017년부터 운영, 현재까지 90여 명이 혜택을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