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자연재해위험지구 120여 개소에 대한 자연재해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재난과 재해가 없는 안전한 완주’ 실현에 적극 나섰다.
군은 지난 12일 오후 완주가족문화교육원에서 지역주민과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2차) 수립 용역 주민공청회’를 가졌다.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해 태풍과 홍수, 호우, 대설 등 재해의 예방과 저감을 위해 향후 10년을 목표로 수립하는 방재 분야 최상위 계획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완주군 전역의 기초조사 및 읍면별 재해위험지구 선정,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것으로, 앞으로 10년간 재해예방사업의 대상과 추진계획을 총 망라했다.
|
 |
|
↑↑ 안전한 완주 실현을 위한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 수립 용역 주민공청회 모습. |
ⓒ 완주전주신문 |
|
완주군이 이날 제시한 계획(안)에 따르면 지역의 자연재해 위험지구로 하천 70여 곳과 사면 10여 곳 등 총 120여 곳이 선정됐다. 이들 위험지구는 자연재해 현황 조사와 관련계획 조사, 재해이력 현황 등의 설문조사 등을 꼼꼼히 거쳐 위험지구 예비후보지 대상을 추출한 후 상세지수를 적용해 엄격히 선정됐다.
종합계획(안)은 위험지구 저감대책을 위한 개략사업비로 9,400억 원이 필요하며, 하천기본계획 재수립과 보완 등 비구조적 저감대책으로 140억 원 가량이 요청되는 등 2차 저감대책과 관련해 총 9,500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공청회에서는 재해저감 종합계획(안)과 관련, 향후 재해예방 사업의 국비지원 근거가 되고 각종 재해예방 사업 시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근간이 되는 것인 만큼 계획(안)의 문제점 등을 수정·보완하고 지속적인 재해예방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개진됐다.
완주군은 전지역 단위의 비구조적 대책과 수계 단위의 대책, 위험지구 단위의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수립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천기본계획과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등 다른 계획과도 연계한 종합대책을 수립해 연차적 투자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또한 이달 중 재해저감 종합계획(안) 승인 신청을 위해 의회 의견수렴과 전북도 자연재해 저감종합계획 관련 심의 등을 진행하고, 행정안전부의 최종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최용민 재난안전과장은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토론내용과 군민들의 의견을 적극 검토해 안전한 완주군을 위한 최선의 방재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