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사회생활을 하는 성인 1.8명이 1명의 어린이나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전북연구원의 ‘인구감소 위기에 대응한 유형별 발전 전략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완주군의 유소년 인구(0~14세)는 1만1,799명이었고, 15~64세 청장년층은 5만9,983명, 65세 이상 노년층은 2만438명으로 집계됐다.
또 완주군의 유소년 인구를 노동가능 인구인 청장년 인구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유소년 부양비’는 19.7명이었고, 노인 인구를 청장년 인구로 나눠 100을 곱한 ‘노년 부양비’는 34.0명으로 분석됐다.
즉, 미래세대가 짊어져야 할 경제적 부담 중 ‘유소년 부양비’와 ‘노년 부양비’를 합친 완주군의 ‘총부양비’가 53.7명이라는 것.
이는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과 고령인구의 수가 53.7명이라는 뜻으로, 사회생활을 하는 1.8명의 성인이 낸 세금으로 1명의 어린이나 노인을 부양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우리나라 전체의 총부양비가 지난해 38.6명인 것과 비교할 때 고령화의 급진전으로 완주군의 총부양 부담이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읍면별로는 경천면과 운주면, 동상면 등 ‘경·운·동 3곳’의 ‘유소년 부양비’가 10명 미만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유소년 부양비가 가장 높은 곳은 20명 이상인 봉동읍과 이서면이었다.
나머지 8개 읍·면은 유소년 부양비가 10~20명 미만 수준이었다.
‘노년 부양비’는 13개 읍면 중에서는 이서면이 유일하게 ‘20명 미만’으로 조사돼 가장 낮았고, 삼례읍과 봉동읍, 용진읍, 상관면 등 4곳은 ‘20~40명 미만’으로 분류됐다.
노년 부양비가 가장 많은 곳은 운주면과 경천면으로 ‘70명 이상’이었다.
이서면의 경우, 유소년 부양비는 가장 높았지만 노년 부양비는 가장 낮은 지역으로 분류돼 눈길을 끌었다.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젊은 층 유입이 많은 데다 인구를 끌어오는 각종 정책이 효과를 본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한편 노인 인구를 유소년 인구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완주군의 ‘노령화 지수’는 ‘100명 미만’이 봉동읍, 이서면 2곳이었으며, 100~500명 미만 7곳, 500~1천명 미만 3곳, 1천명 이상 1곳(경천면) 등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