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은 버리는 만큼만 내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다음달부터 본격 시행한다.
지난 24일 완주군은 종전까지 무상수거 처리돼오던 음식물 쓰레기를 올해부터는 음식물 배출자가 버리는 만큼만 내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의무 시행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군은 공동주택의 경우 지난 4월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7월부터는 일반음식점 및 단독주택에 대해서는 시범기간(7~9월)을 거쳐 10월부터 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종량제 방법은 공동주택 및 일반음식점의 경우 배출자 무게중량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이 적용되고, 일반단독 주택은 배출횟수에 따른 칩 수거 방식으로 시행된다.
RFID 수거방식은 수거용기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통해 배출자 및 배출량 정보를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수료를 무게단위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배출량만큼 부과가 가능해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려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취지 실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칩 구입비용으로 정산하는 선납제로 배출횟수에 비례해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인 칩 방식의 경우 부과방법과 사용이 간단함은 물론, 설치장소에 대한 제한이 없어 사용이 용이하지만, 세대별로 중량파악이 어려우며 사용 중 냄새가 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완주군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인터넷(http://www.limebox.co.kr)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출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서버를 구축하고, 종량제 민원창구를 개설해 주민들의 불편사항은 즉각적인 대처에 나설 방침이다.
이근형 환경위생과장은 “전국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20% 줄일 경우 1,600억 원 이상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연간 177만 톤의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되고, 18억kwh의 에너지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의 조기 정착을 실현하고, 다시 찾고 싶은 완주군을 만들기 위해서는 군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