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국립농업과학원과 손잡고, 국가중요농업유산인 완주생강의 전통농업 재배 기술을 연구하고, 확산시킨다.
지난 11일 군에 따르면 최근 완주생강전통농업시스템 보존위원회와 국립농업과학원은 ‘완주생강 전통농업 재배기술 현장실증’을 위한 협업농장 현판식을 봉동읍 구만리에서 가졌다.
이는 최근 국립농업과학원의 협업농장 프로젝트에 완주생강전통농업시스템 보존위원회가 지정된 데 따른 것.
이날 현판식에는 김춘만 완주군 경제산업국장, 완주군의회 성중기·유이수·심부건 의원, 국립농업과학원 주요 부서장과 연구진들이 대거 참석했다.
현판식 이후에는 현장실증과 관련.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진행을 위한 설명회와 함께 농가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협업농장에서는 앞으로 완주생강 전통농법에서 생강 이어짓기를 할 때 발생하는 생강근경썩음병을 줄이기 위한 유기농업 기술과 미생물제 적용 기술,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검정 및 개선 기술을 현장 실증하게 된다.
|
 |
|
↑↑ 완주군이 국립농업과학원과 손잡고 완주생강의 전통농업 재배 기술을 연구하고 확산키로 했다. 사진은 협업농장 현판식 모습. |
ⓒ 완주전주신문 |
|
특히 국립농업과학원은 완주생강 전통농업 시스템 보전 관리를 위한 실증을 위해 총 4개과가 통합 연구과제를 수행해 주목을 받았다.
부서별 수행내용은 △완주생강 전통농업 시스템 보전·관리 실증(농촌환경자원과) △연작장해 개선을 위한 유기농업기술 현장 적용(유기농업과) △생강 생육기 병해 및 생육관리를 위한 미생물제 적용(농업미생물과) △생강재배지 토양 이화학성 변화 검정 및 개선(토양비료과) 등이다.
협업농장을 관리하는 완주생강 전통농업 보존위원회(이사장 이민철)는 전통생강 재배에 따른 유기농업 및 미생물제 적용 및 기술적용 결과를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김춘만 경제산업국장은 “생강은 뿌리썩음병 발병율이 평균 25% 이상으로 생강농가의 애로사항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며 “생강재배지 연작장해 개선을 통해 농민들 스스로 완주의 대표 특산품인 생강재배 면적 확산에 동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