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행정

“지방소멸대응기금 실효성 없어, 단계적 확대 편성 및 운용계획 재조정”촉구

원제연 기자 입력 2022.08.12 10:33 수정 2022.08.12 10:33

윤수봉 도의원, 소멸위기에 놓인 지역 살리기에 재정규모 턱없이 적어… 나눠주기식 행정 질타

↑↑ 윤수봉 도의원
ⓒ 완주전주신문
전라북도의회 윤수봉 의원(완주1)이 정부를 상대로 지방소멸위기지역에 대한 현실적이고 효과적 예산 편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는 지방소멸 우려가 당장 현실로 다가왔지만 윤석열 정부가 전격 시행중인 지방소멸대응기금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

이에 윤 의원은 제393회 2차 본회의에서‘지방소멸대응기금 확대 편성 및 운용계획 재조정 촉구 건의안’을 대표 발의했다.

윤 의원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인구감소대응 및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차원을 넘어 한 지역의 사라짐, 즉 완전히 소멸해 가는 지역을 벼랑 끝에서 구해내기 위해 마련된 예산”이라며 “하지만 시급성은 물론 효과성 역시 반드시 확보해야 할 예산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재원 규모와 운용계획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지자체 자주재원이라고 했지만, 사업계획만 지자체가 수립하고, 투자계획 심사와 지자체별 차등지원 규모는 정부부처가 전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때문에 기존 중앙공모사업방식과 다를 바가 없으며, 지자체의 자율성과 자치기반 확충을 저해하는 시대역행적 운용방식이라는 게 윤 의원의 주장.

또한 인구감소를 대응하기 위한 목적재원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실상 다수의 사업들이 다른 기존 사업과 중복되거나 지방소멸대응이라는 목적과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운용의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정부 때 도시재생에 연간 10조 원, 5년간 약 50조 원의 지원계획을 발표한 데 반해, 하물며 쇠퇴를 넘어 소멸의 길에 접어든 지역을 살려내는 데 투입되는 예산이 연간 1조원 규모로 재생예산의 5분의 1수준에 불과한 것은 그야말로 나눠주기식, 보여주기식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진정으로 소멸위기지역의 현실을 생각한다면 기금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해 정말 필요한 지역에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지방소멸대응정책에 대한 수정보완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