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북소식

목욕탕 없는 읍면에 ‘작은목욕탕’ 조성

김성오 기자 입력 2012.11.23 13:01 수정 2012.11.23 01:01

목욕탕이 없는 도내 읍면 농촌주민 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동네 행복사랑방인 작은목욕탕(1,000원 목욕탕) 조성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전북도는 지난 16일 박성일 행정부지사와 전북농협 강종수 지역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작은목욕탕 조성사업 지원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협약식은 작은목욕탕이 유류비 등 운영비가 과다 소요돼 시군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전북농협이 운영비 절감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겠다는 의사 표시로 이뤄졌다.

전북농협은 그동안 도와 협의를 거쳐 올해 신축분 9개소를 포함, 33개소에 대해 개소당 3천만원 상당의 에너지 절감설비(공기열원 히트펌프)를 기증하기로 했다.

전북농협에서 기증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경유보일러에 비해 에너지가 50% 이상 절감돼 앞으로 시군에서 운영할 작은목욕탕의 운영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박성일 행정부지사는 “‘작은목욕탕’은 우리 도에서 추진하는 삶의질 정책 가운데 하나로 도민들이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는 시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협약식을 시작으로 ‘작은목욕탕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돼 농촌지역의 주민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삶의질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장애인을 위해 목욕침대, 핸드레일, 전자블럭, 휠체어 등 편의시설도 함께 갖춰서 모든 계층의 도민들이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도록 조성할 계획이다.

전북도가 작은목욕탕을 장애인겸용으로 조성할 계획을 세운 배경에는 시군의 수요조사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공중목욕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도내 장애인 전용 생활시설(52개소)에는 대부분 목욕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장애인 복지관 등 이용시설(10개소/전주시 1개소 제외)에는 목욕시설이 없어 불편을 겪어왔다.

또한 장애인들이 현실적으로 대중목욕탕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감안, 매주 운영기간 중 1~2일을 장애인 사용일로 지정 운영하는 방안도 시군별로 운영조례 제정시 충분히 검토하여 반영토록 할 계획이다.

한편, 전북도는 그동안 도내 시군을 대상으로 작은목욕탕 조성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11개 시군의 51개 읍면지역(‘12년 9개소, ’13년 24개소, ‘14년 18개소)에서 건립신청을 해 올해 신축분 9개소에 대해 1회 추경에 예산을 확보했고, 해당 시군에서도 추경에 이미 확보한 상태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