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복지

“완주군에 국내 최대 규모 UPS 안전성 평가 인프라 구축한다”

원제연 기자 입력 2024.10.17 16:07 수정 2024.10.17 04:07

전북특별자치도-완주군-한국전기안전공사, 업무협약 체결
성공적 위험성 평가 및 기술개발 위해 공동 노력키로 약속

“제2의 데이터센터 화재 먹통은 완주에서 막는다.”

지난 15일 완주군은 전북특별자치도, 한국전기안전공사와 대용량, 고출력 무정전전원장치(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청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은 김관영 도지사, 유희태 완주군수,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인 위험성 평가 및 기술개발을 위해 상호 노력키로 약속했다.

‘대용량, 고출력 무정전전원장치(UPS)’는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정전됐을 때 장비나 시스템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작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장치를 뜻한다.
↑↑ 완주군에 국내 최대 규모의 UPS 안전성 평가 인프라를 구축한다. 사진은 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업무협약 모습.
ⓒ 완주전주신문

지난 2022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직후 완주군은 발 빠르게 움직여 전북도,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함께 ‘무정전전원장치(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국가공모사업을 따내 국비 200억을 확보했다. 이 사업에는 국비를 포함해 지방비, 민간 투자 등 총 300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완주 테크노밸리 제2일반산업단지에 센터를 설립해 연구개발을 추진할 예정으로, 오는 2027년까지 4개년에 걸쳐 대용량, 고출력 UPS 표준모델 개발과 연계한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사고대응 실시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것으로, 완주군은 부지와 각종 인허가 등 행·재정적 지원을, 전북도는 행·재정적 지원, 그리고 전기안전공사는 센터·실증설비 적기 구축,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기존 ESS 안전성평가센터와 더불어 무정전전원장치 안전기준 개발 및 인증 수행을 통해 완주군은 세계일류 수소도시로 한 걸음 더 도약할 수 있게 됐다”며 “수소산업 안전·인증과 함께 이차전지 안전산업을 선도해 완주의 미래 100년 역사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