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의 도시재생 사례가 국가건축정책위원회(위원장 권영걸)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건축 분야의 중요한 정책을 심의하고, 관계 부처의 건축정책을 조정함으로써 범 부처 차원의 건축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기구이다.
지난 7일 국가건축정책위원회가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폐·유휴공간 재생’을 주제로 완주군을 비롯한 전북지역에서 심포지엄을 열었다.
현장답사 차 완주군을 찾은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일제강점기 수탈의 역사인 양곡창고를 완주문화거점지로 탈바꿈시킨 삼례문화예술촌과 폐교된 삼례중학교를 리모델링을 통해 지난 7월 새롭게 문을 연 완주경제센터를 방문했다.
|
 |
|
↑↑ 완주의 도시재생 사례가 국가건축정책위원회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사진은 완주경제센터를 둘러본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 완주전주신문 |
|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완주군의 성공적인 폐·유휴공간 활용 사례 현장을 돌아보며,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 및 경제적 활용방안과 공간정책의 실효성을 확인했다.
유희태 군수는 위원회 일행을 직접 맞이하며 완주군의 한발 앞선 도시재생 유휴공간 우수사례와 완주군의 문화재와 예술, 먹거리 등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서 권영걸 위원장은 “지방소멸은 우리 국가와 지역사회에 큰 과제로 다가왔다”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폐·유휴공간의 창조적이고, 유용한 자원으로서의 활용이 무척 중요하다”고 밝혔다.
유희태 군수는 “이번 국가건축정책위원회의 전라북도 방문은 매우 의미 깊은 일이다. 폐·유휴공간의 자원 활용은 단순히 공간적 제공만이 아닌 사람이 모일 수 있고, 공간에 오래 머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지역에 살고 싶은 환경조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민·관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