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환자 1:1 맞춤형 사례관리에 박차
홀몸노인·부부 치매 등 등록 환자 중 30% 직접 돌봄
----------------------------------------------------------------------
완주군이 치매환자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1:1 맞춤형 사례관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3일 완주군에 따르면 맞춤형 사례관리는 치매환자 중 홀몸노인이거나 부부가 모두 치매인 경우, 또한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치매 어르신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가가호호 방문과 주기적인 전화 방문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완주군치매안심센터 사례관리팀은 어르신의 건강 상태와 일상생활 및 가정 내 안전 문제 등을 파악해 치매 노인이 가진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계획을 수립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 완주군보건소가 치매 1:1 맞춤형 사례관리(사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 완주전주신문 |
|
활용 가능한 지역 자원을 연계해 치매가 있어도 치매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 사회 내에서 어려움 없이 살아가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군보건소는 등록 치매노인 2600여 명 중 30%에 해당하는 치매노인에게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해 마을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유미경 치매안심센터장(보건소장)은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우리 모두의 일이다”며 “앞으로도 보건소는 군민의 치매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스마트밴드로 주민 영양·운동 챙긴다
간호사·영양사·운동전문가 한 팀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
완주군이 ICT를 활용해 주민들의 영양과 운동을 맞춤 관리한다. 최근 완주군은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운영을 이달 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헬스케어사업은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문가로 구성된 보건소 전담팀이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밴드(활동량계)를 활용해 건강, 영양, 운동 등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사업이다.
서비스 대상자는 선착순 80명으로 건강관리가 필요한 대상자 중 보건소 최초 건강검진 시 질환을 보유하지 않은 만19세 이상 완주군민 또는 완주군 내 직장인이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다.
|
 |
|
↑↑ 완주군이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운영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을 챙긴다. |
ⓒ 완주전주신문 |
|
참여 신청은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증진팀(063-290-3066)로 문의하면 된다.
사업에 선정된 참가자에게는 스마트밴드가 지급되며, 최초/중간/최종 보건소 방문을 통해 신체 계측 및 혈액검사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24주간 모바일 앱과 스마트 밴드로 건강 상담이 이루어진다.
유미경 보건소장은 “ICT기술로 보건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으로 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다”며 “모바일헬스케어는 본인 스스로 건강관리 할 수 있는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