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삼척 등 전국에 동시다발적인 산불 발생으로 비상령이 떨어진 가운데 완주군이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을 정하고, 산불 위험요인 사전 제거와 상시 감시체계 강화, 취약지역 순찰 강화 등 산불 예방을 위해 총력전을 경주하고 있다.
지난 7일 완주군에 따르면 대형 산불의 약 75%가량이 3월 초부터 4월 중순에 발생하고 있어 이틀 전인 5일부터 오는 4월 17일까지 44일 동안 ‘봄철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현장 중심의 예방활동과 순찰 강화 등 입체적인 대책을 강력히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완주군은 산불 원인의 대다수가 입산자의 실수에 의한 실화이거나 논밭두렁 소각 등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 감시원과 진화대 계도반을 편성, 사전 차단에 나섰으며, 산림 연접지역 농산부산물 등 산불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또 산불 취약지역 마을을 방문해 산불요인을 제거하고, 이장회의와 주민자치회의 등 각종 주민 모임에서 산불예방 홍보에 나서는가 하면 산불 감시인력 지도감독과 유관기관 간 협조체제 강화, 비상연락체계 구축 등에 주력하고 있다.
|
 |
|
↑↑ "전국 곳곳 대형 산불 발생… 완주군, ‘봄철 대형산불 특별대책기간’ 운영" 봄 가뭄과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북 울진과 삼척, 강원도 강릉과 동해 등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해 가옥이 불에 타는 등 많은 재산피해가 났다. 이에 완주군은 오는 4월 17일까지 ‘봄철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현장 중심의 예방활동과 순찰강화 등 입체적 대책을 추진한다. |
ⓒ 완주전주신문 |
|
13개 읍·면도 오는 5월말까지 ‘봄철 산불방지 종합대책 추진 기간’으로 정하고 자체 산불방지 대책에 돌입했다.
봉동읍의 경우 직원 20여 명과 산불감시원 4명을 포함한 28명의 운영인원을 정해 1일 2회 순찰을 강화하는 등 고강도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용진읍도 산불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산불감시원을 선발 관리하며 산불예방 홍보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등에 돌입한 상태다.
이서면 역시 산림 인접지 논·밭두렁 등 산불 위험요인 제거 대상지를 파악하고 도로변과 임도 주변에 산불조심 홍보물을 부착하는가 하면 이장회의 등 각종 주민 모임에 산불예방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고산면은 21명의 직원과 산불 감시원이 비상 근무조를 편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산불 감시원의 상시 감시체계 강화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마을 방송 등을 통한 주민홍보 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다른 읍·면들도 산불 위험요인 제거와 상시 감시체계 강화, 취약지역 순찰 강화, 담당직원 마을 출장, 앰프방송 실시, 불법 소각 시 불이익 홍보 등 산불을 막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완주군의 한 관계자는 “산불은 작은 부주의가 큰 화를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집중 발생 기간인 봄철에 예방활동을 강화해 나가자는 취지”라며 “만에 하나 산불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