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권창환 도의원 |
ⓒ 완주군민신문 |
성과창출을 위한 마구잡이식 기업유치가 전북도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도가 역점적으로 유치한 기업들의 실제 고용인원이 당초 발표한 규모 보다 적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7일 전북도의회 권창환 의원(민주, 완주1)은 제29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전라북도 기업유치는 특정산업 육성차원의 전략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그렇다면 일자리 창출이 실질적으로 늘고 있느냐하는 문제가 남는데, 기업유치를 통해 실질적으로 일자리가 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몇이나 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이어 “전라북도의 투자유치 목표는 크게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유치기업 100개라는 목표량이었고 나머지 하나는 1억불~1억3천불이라는 외투기업 유치였다”면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매년 100개 기업 유치를 목표로 2009년부터 현재까지 목표를 향한 타이틀만 바뀌었지 기업유치 목표는 대동소이 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2011년도에 도는 120개가 넘는 기업을 유치했으니 성과는 초과달성했지만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면서 “기업을 유치하는 것은 전북도가 특정산업육성을 위해 전략적 차원에서 이뤄진다거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거나 아니면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성과창출을 위한 마구잡이식 기업유치가 과연 전북도에 무슨 도움이 되고 있는 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권 의원은 “도가 매년 발표하는 ‘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 현황’자료를 보면 지금까지의 고용 규모는 발표되지 않은 채 예상고용규모만 집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권 의원은 전북도의 MOU 체결 및 관리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권 의원은 “최근 5년 동안 기업유치와 관련된 MOU체결 기업은 총 138개로 나타났다”며 “이중 가동·건축·입주계약 등을 포함한 투자 이행중인 기업은 64개이고, 준비 중인 곳은 62개, 12개 기업은 가동중단 및 해지됐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들 중 40%에 가까운 36개 기업은 이미 가동 중에 있지만 고용인원은 3천858명으로 당초 계획인원의 4.7%에 그치고 있다”며 “기업체 개별로 투자대비 현재 진행상황을 다시 한 번 체크해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라북도는 이에 대해 “MOU체결 기업들이 초기 보수적 투자 후 2~3단계로 증설투자 과정을 통해 최종 3년에서 5년에 걸쳐 투자와 고용에 나서기 때문에 고용률에 편차가 있을 수 있다”면서 “투자한지 3년 이상 된 기업 26곳의 경우 당초 계획의 88%를 고용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