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복지

용진 송전탑, 지중화 만이 해결책

원제연 기자 입력 2012.08.15 17:24 수정 2012.08.23 05:24

주민, “생명 재산 위험 및 지역 발전 악영향”
한전, 주민협의체와 접촉 후 최종 경과지 선정

용진면 구억리와 상삼리를 예상경과 지역으로 한전이 시행하고 있는 15만 4천 볼트 송전선로 건설 사업과 관련, 용진면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주민들은 지중화 외에는 어떤 제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주민들은 “전주시의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용진면 주민들의 희생을 요구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지중화 요구가 받아들여 질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또“최근 77년 만에 완주군청사가 용진면으로 이전하면서 전주 등 인근지역에서도 용진면에 대한 관심이 많고 주민들 역시 지역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에서 송전탑 건설이 추진된다면 지역 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전이 지난 2010년 8월부터 전주시 송천동 에코시티 전력수급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송전선로사업에 대해 그간 완주군은 지역문화 유산 보존 과 균등발전에 벗어난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 입장을 한전에 전달했다.

또한 지난해 1월 구억리와 상삼리 등 인근주민들은 주민건강, 재산상 피해, 문화재 보존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진정서와 반대 서명부를 지식경제부와 한전 측에 전달하는 한편 반대대책위원회의 한전 방문 등을 통해 송전선로 변경과 지중화에 대한 주민들의 의지를 확인시켰다.

주민들의 계속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전측은 “지중화를 할 경우 많은 예산이 투입됨은 물론 비슷한 상황의 다른 농촌지역과 형평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주민들의 뜻을 받아들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난색을 표했다.

이에 송전탑반대대책위원위(위원장 정회방)는 지난해 10월 용진주유소 옆 도로에서 지역주민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송전탑 지중화 및 노선변경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주민들은 한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삼리~구억리를 관통하는 1안과 2안의 노선을 철회하고 동전주 변전소에서 군도 10호선을 따라 지중화해 줄 것을 한전에 요구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경과지를 선정하기 위해 마을 주민협의체 구성을 요청, 현재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면서“빠른 시일 내에 주민협의체와 만나 충분히 논의한 다음 최종 경과지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특별한 해법 없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한전과 주민협의체간의 접촉 시점을 계기로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완주전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