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시내버스 지·간선제를 일방적으로 추진하려고 하자 완주군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완주군에 따르면 전주시가 오는 10월부터 전면적으로 추진할 방침인 시내버스 지·간선제는 지난 2004년에도 한 달여간 시행했으나, 환승제에 따른 불편함과 환승에 따른 완주군민의 고통 때문에 무산된 제도다.
그럼에도 그 당시의 제도를 전혀 보완 없이 완주군민과 완주군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추진하려는 것은 버스파업의 책임을 환승제로 회피하고, 전주시민과 완주군민의 교통편익을 등한시하는 처사라는 게 완주군의 설명이다.
완주군 관계자는 “지·간선제 추진할 경우 도시지역과는 달리 완주군은 전체 인구의 25%가 노령층이며, 시내버스 이용자의 약 90%가 교통약자이기 때문에 환승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농산물 등 소지품 운반 승·하차 시 불편함이 이루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군 관계자는 또 “지·간선제 추진 시 완주군 노선의 경우 전체가 비수익 노선으로 전락할 것이 뻔하고, 버스재정 손실보상에 대한 추가요구와 버스요금 인상은 물론 결과적으로 운행횟수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주시는 환승제 반대시 버스노선개편을 이유로 완주군민의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는 뉘앙스를 풍기면서 지간선제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술수까지도 동원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완주군은 전주시가 지·간선제 추진을 위한 용역을 추진하는 등 일방적 움직임에 대하여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009년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추진하면서 사전 협의 한번 없이 완주군 동북부권의 6개면을 제외한 반쪽짜리 단일화의 전철을 밟는 등 입으로는 상생을 외치면서 완주군과 완주군민의 희생은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고 완주군은 주장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전주시의 일방적 시내버스 지·간선제 추진 움직임에 대해 완주군민의 의견수렴을 위한 행정절차 및 완주군과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 추진하는 것을 강력히 반대한다”며 “전주시가 행정편의적인 시내버스 지·간선제를 일방적으로 추진할 경우는 물론 환승제 대안으로 노선개편(운행횟수 감축)하여 완주군을 압박한다면 극명한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