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완주군과 사전협의도 없이 밀어붙이기식으로 시내버스 노선을 바꾸려고 해 완주군 내 기관사회 단체 및 주민들에게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최근 전주시는 5년만에 지간선제를 골자로 하는 새 버스노선 계획을 발표했다.
전주시가 밝힌 지간선제는 현재의 시내버스가 주요 도로만 운행하고 좁은 도로는 마을버스가 담당한다는 것을 말하는 데 빠르면 오는 9월쯤 개편될 예정이다.
전주시는 지간선제가 도입되면 시내버스의 운행횟수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주시가 밝힌 지간선제가 확정되면 완주군민들의 버스 환승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번 버스노선 개편에 대해 완주군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확고히 하고 있다.
지간선제가 도입되면 완주군민들이 중간에서 버스를 갈아타는 불편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서에서 한 농부가 전주 남부시장에 야채를 팔기위해 버스를 타면 이서에서 전주시에 위치한 전주대학교 앞 버스 환승장에서 남부시장으로 가는 버스로 갈아 타야한다.
완주군 관계자는 “완주군에는 버스의 주 이용객인 교통약자 즉 노인과 여성이 3만 명에 달한다”면서 “군민들이 목적하는 곳을 가기 위해서는 버스를 갈아타야하는 불편과 환승하기 위해서 버스에 내려서 기다리는 시간동안에 야간에는 범죄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이어 “지간선제가 확정되면 군 내 많은 버스노선은 비수익 노선으로 전락할 수도 있고 그러면 버스 운행 횟수 감소 및 노선 폐지 가능성이 있다”면서 “아울러 비수익 노선에 대한 버스회사의 손실보상까지 발생할 소지가 높다”고 덧붙였다.
특히 군 관계자는 “지난 2004년도 1월 1일부터 20일간 환승제를 했었지만 많은 문제점과 불편이 발생해 철회했던 적이 있었다”면서 “특히 전주시에서 계획하는 이번 버스노선 개편은 완주군의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현행 노선이 괜찮은데 환승불편을 따라가면서 까지 완주군에서 버스노선 개편을 수용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이와 관련 완주군 주민들은 “전주시가 버스노선을 개편하기 이전에 완주군의 현실을 좀 더 감안했더라면 버스 환승이란 생각은 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전주시는 이번 버스노선 개편을 신중하게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환경실천연합 완주군지회는 이번 버스노선 개편과 관련 “완주군에는 노인 인구가 많은 현실에서 버스 환승은 어불성설”이라며 “버스 지간선제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전주시는 노선 개편 용역결과가 나오면 조만간 완주군민들을 상대로 주민설명회를 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4년에 버스 노선을 개편하려다 실패했던 전주시는 당시 완주군민들을 대상으로 5차례의 주민설명회와 협의회 등을 개최했었다.